세무와 회계연구
(통권 제41호-7) 중견기업의 조세특례 현황과 개선과제(김신언 구성권)
2025-05-23
작성자 :
조회 : 97
첨부파일 : 1개

국문초록

기업의 규모에 따른 세제혜택의 차별은 조세특례제한법1조 전단에서 규정한 과세의 공평을 도모한다는 측면에서 일정부분 합리적이다. 그러나 중소기업에 편중된 현행 조세특례제도는 중소기업을 졸업하고 대기업으로 성장하려는 중견기업이 다시 중소기업으로 회귀를 검토하는 가장 주된 요인으로 손꼽힌다. 특히 중견기업이 중소기업보다 연구개발이나 고용증대 등의 세제혜택 면에서 차별을 받아야 할 정당한 법리적 사유를 찾기 어렵다.

또한, 기업의 규모에 따른 세제혜택의 차별은 조세특례제한법1조 후단에서 정한 조세정책을 효율적으로 수행하는 것인지에 대한 의구심을 갖게 한다. 수출실적, 고용확대 및 임금상승 능력, 연구개발 및 투자 지표 등 국내외 여러 실증분석에서 중소기업보다는 중견기업에 대한 세제지원 확대가 더 효율적이라는 것이 입증되었기 때문이다. 따라서 현행 중견기업에 대한 조세특례제도는 중소기업에 비하여 과도하게 불리해지지 않도록 재설계될 필요가 있다.

구체적으로 연구개발 및 투자를 촉진하기 위해서는 투자여력이 있는 중견기업의 혜택을 중소기업 이상으로 늘려주어 중소기업으로 회귀하고자 하는 유인을 없애야 한다. 다음으로 중소기업보다 근로자 교육훈련, 고용증대 및 임금인상의 효과가 큰 성장지향형 중견기업을 찾아 맞춤형 세제지원을 확대하여야 한다. 또한 일본처럼 우량 중견기업이 경영자원을 집약해 수익과 임금 상승을 도모할 수 있도록 M&A 등을 통해 기업규모를 확대하는 조세특례를 마련할 필요가 있다. 그리고 중견기업의 인적 가업승계 요건 완화하여 수증인이나 상속인이 아닌 전문경영인을 대표자로 선임할 수 있는 예외규정을 두어야 한다.

주제어중견기업, 효율성, 연구개발, 투자촉진, 고용증대


Abstract

Discrimination in tax benefits according to the size and type of company is partially reasonable in terms of promoting fairness in taxation stipulated in the front section of Article 1 of the Restriction of Special Taxation Act. The current tax exemption system, which is concentrated on SMEs, is cited as the main factor in reviewing the return to SMEs after graduating from SMEs and growing into large companies. In terms of horizontal equity, it is difficult to find a legitimate legal reason for mid-cap enterprises to be sharply discriminated against in tax benefits such as research and development and employment increase than SMEs.

In addition, discrimination in tax benefits according to the size of a company raises doubts about whether the tax policy set forth in the latter part of Article 1 of the Restriction of Special Taxation Act is efficient. This is because various empirical analyses at domestic and abroad, such as export performance, employment expansion and wage growth capabilities, R&D, and investment indicators, have proven to be more efficient in expanding tax support for mid cap enterprises than SMEs. The current tax exemption system for mid cap enterprises needs to be redesigned so that they are not excessively disadvantageous compared to SMEs.

In specific, to promote R&D and investment, the benefits of mid cap enterprises with investment capacity should be increased beyond SMEs to eliminate incentives to return to SMEs. Customized tax support should be expanded by finding growth-oriented mid cap enterprises that are more effective in education and training for workers, increasing employment, and raising wages than SMEs. It is also necessary to prepare tax special cases to expand the size of the company through M&A so that high-quality mid cap enterprises such as Japan can concentrate management resources to promote profit and wage increases. In addition, exceptions should be made to appoint professional managers who are not beneficiaries or heirs as representatives by easing the requirements for human family business succession of mid cap enterprises.

Key Wordsmid cap enterprises, efficiency, R&D, investment promotion, employment increa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