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문초록>
현재 국민연금기금을 비롯한 4대 공적연금기금은 동일한 연금업무를 수행하고 있다. 그러나, 각 기금 간에 과세 취급과 과세 지위는 서로 상이하다. 최근 조세특례제한법의 개정을 통해 실제로 법인세를 납부하지 않게 됨에 따라 세제 취급은 거의 동일하게 적용되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아직까지도 일부 기금에 대해서는 기금운용단계에서 채권 이자소득 등에 대하여 원천징수가 되고 있어 기금 간 세제 형평성이 위배되고 있다.
연금기금은 가입자들의 안정적 노후 소득 보장을 위해 다양한 포트폴리오를 통해 기금을 운용하고 있으며, 연금기금에 있어서 안정적인 자금운용 수익 창출은 매우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고 있다. 정부는 이와 같은 상황을 감안하여 연금기금 운용이익에 대하여 고유목적사업준비금을 전액 설정토록 하는 조세특례를 부여하고 있다. 이에 따라 현재 연금기금 운용단계에서 발생한 운용이익에 대한 법인세 과세 이슈는 크게 발생하지 않는다. 그러나, 기금운용단계에서 채권이자 소득 등이 발생할 경우 일부 기금에 대해서는 여전히 원천징수를 적용하고 있어 납부할 세금이 전혀 없음에도 불구하고 불필요한 과세행정이 수반되고 있고 아울러 기금운용에 대한 기회비용이 발생하고 있다.
본 연구는 실제적으로 법인세의 납부금액이 발생하지 않는 연금기금에 대하여 원천징수를 적용하고 있는 현행 과세행정에 대한 문제점을 제기하고 이에 대한 개선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본 연구에서는 다음과 같이 주장하고자 한다. 공무원연금기금과 사학연금기금은 채권 등 이자소득에 대하여 원천징수를 면제하는 기관으로 지정되어야 할 것이다. 현재 공무원연금기금과 사학연금기금의 운용이익은 법인세가 부과되지 않거나 면제되는 소득 등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소득 범위에 포함해야 할 것이다. 이는 기금운용 단계에서 비과세하고 있는 연금소득과세 원칙에도 부합한 것이라 할 수 있다. 본 연구는 공적연금기금의 특성을 감안하여 기금운용단계에서 발생하는 채권 이자소득 등에 대하여 원천징수를 면제할 것을 제안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정책당국과 연금공단 및 비영리법인 등에게 원천징수에 대한 기본적 취지를 살펴보고 이를 통해 불필요한 과세행정의 방지는 물론 기금운용 과정상 기회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였다는 측면에서 의의가 있다.
▶ 주제어:공무원연금기금, 사학연금기금, 채권이자, 원천징수, 면제, 기회비용,고유목적사업준비금
<Abstract>
Currently, the four major public pension funds, including the National Pension Fund, are performing the same pension service. However, tax handling and taxation status are different between each fund. As corporate tax is not actually paid through the recent revision of the Restriction of Special Taxation Act, tax treatment is applied almost the same. Nevertheless, some funds are still withheld from bonds, interest income, etc. at the fund management stage, violating tax equity between funds.
The pension fund operates the fund through various portfolios to ensure stable retirement income for subscribers, and the creation of stable fund management profits occupies a very important position in the pension fund. In consideration of this situation, the government has granted a special tax exemption to establish the entire reserve for purpose-built projects for the operating profits of the pension fund. There is currently no significant issue of corporate tax on operating profits generated during the pension fund management stage. If bond interest income occurs during the fund management stage, withholding tax is still applied to some funds, which entails unnecessary tax administration even though there is no tax to pay, and opportunity costs for fund management are incurred.
This study aims to raise the problem of the current tax administration, which applies withholding tax to pension funds that do not actually generate corporate tax payments, and to suggest improvement plans. In this study, I would like to argue as follows. Government Employees Pension Fund and Teachers‘ Pension Fund should be designated as institutions that exempt from withholding tax on interest income such as bonds. Currently, the operating profits of the Government Employees Pension Fund and Teachers’ Pension Fund should be included in the range of income prescribed by Presidential Decree, such as income that is not subject to or exempt from corporate tax. This can be said to be consistent with the principle of pension income taxation, which is not taxed at the fund management stage. In consideration of the characteristics of the public pension fund, this study attempted to suggest the exemption from withholding tax for bond interest income generated in the fund management stage.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examines the basic purpose of withholding tax to policy authorities, pension corporations, and non-profit corporations, and suggests measures to prevent unnecessary tax administration as well as reduce opportunity costs in the fund management process.
▶ Key Words:government employees pension fund, teacher’s pension fund, bond interest, withholding tax, exemption, opportunity cost, reserve for unique purpose busines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