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무와 회계연구
(통권 제41호-4) 장기 기증 등에 대한 세제 혜택 도입방안에 관한 연구(김기영)
2025-05-23
작성자 :
조회 : 111
첨부파일 : 1개

국문초록

장기, 인체조직, 시신 등의 기증은 생명 구호와 의료 연구를 가능하게 하는 공익적 행위로서, 국민 보건 향상과 의학 발전에 핵심적인 역할을 수행한다. 그러나 현행 세법은 기부금 공제 대상을 주로 금전적 기부에 한정하고 있으며, 인체 기증과 같은 비금전적 공헌은 세제 지원 범위에서 제외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는 고도의 윤리적 가치와 공익성을 지닌 기증 행위에 대한 제도적 인식이 부족하다는 점을 보여주며, 기증자의 사회적 공헌에 상응하는 조세적 보상이 부재하다는 한계를 드러낸다.

본 연구는 인체 기증의 유형과 특성을 체계적으로 분류하고, 현행 세법의 공제 제도 분석 및 외국의 유사 사례와의 비교를 통해 인체 기증에 대한 세제 지원 가능성과 정책적 방향을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소득세법, 법인세법, 조세특례제한법 등의 관련 규정을 검토하여, 공제 제도의 적용 범위를 분석하고, 제도적 공백과 해석상의 문제점을 진단하였다.

그 결과, 기증의 방식과 시점에 따라서 세제 혜택의 적용 범위와 방식이 달라져야 함을 확인하였다. 이에 따라 인체 기증을 헌혈 및 제대혈 기증, 생전 장기 및 인체조직 기증, 사망 또는 뇌사 시 장기 및 인체조직 기증, 시신 기증의 네 가지 유형으로 구분한 뒤, 각각의 유형에 적절한 세액공제 또는 소득공제 방식의 도입을 제안하였다. 특히 생전 기증에는 기증자의 치료비교통비 등 실비에 대한 소득공제 방안을 제안하였고, 사망 또는 뇌사 시 기증은 기증자의 상속세 신고 시에 공제를 인정하는 별도 항목을 마련할 필요성을 강조하였다. 또한, 기증을 장려하기 위한 간접적 유인책으로서 사업주에게 부여할 수 있는 세제 지원 방안도 함께 검토하였다.

본 연구는 고도의 공익성과 윤리성을 내포한 인체 기증 행위에 대해 조세 정책적 보상 구조를 설계함으로써, 기증 문화를 제도적으로 확산시키는 기반을 마련하는 데 목적이 있다. 나아가 세제 혜택이 단순한 금전적 보상에 그치지 않고, 생명 나눔에 대한 사회적 인식을 전환하는 정책적 수단으로서 기능을 할 수 있음을 제언한다.

주제어장기 기증, 인체조직 기증, 시신 기증, 기증 활성화, 기부금공제


Abstract

Donations of organs, human tissues, and cadavers are public-interest acts that enable life-saving procedures and medical research, playing a key role in improving public health and advancing medical science. However, current tax law limits donation deductions primarily to monetary contributions, excluding non-monetary contributions such as human body donations from tax relief measures.

This reveals a lack of institutional recognition for donation acts that possess a high level of ethical value and public interest, and exposes a limitation in the absence of tax compensation corresponding to the social contributions of donors.

This study aims to systematically classify the types and characteristics of human body donations and present the feasibility and policy direction of tax support for such donations through analysis of current tax deduction systems and comparison with similar foreign cases. To this end, relevant provisions such as the Income Tax Act, Corporate Tax Act, and the Restriction of Special Taxation Act were reviewed to analyze the scope of application of the deduction system and to diagnose institutional gaps and interpretative issues.

As a result, it was confirmed that the scope and method of applying tax benefits should vary depending on the manner and timing of the donation. Accordingly, human body donations are categorized into four typesblood and cord blood donation, living organ and tissue donation, posthumous or brain-dead organ and tissue donation, and whole-body donationfor each type, the introduction of an appropriate income deduction or tax credit method is proposed.

In particular, for living donations, an income deduction plan for actual expenses such as medical and transportation costs is suggested, and for posthumous or brain-dead donations, the need for a separate deduction item in the inheritance tax filing process is emphasized. In addition, indirect incentive measures in the form of tax support for employers to encourage donations were also considered.

This study aims to establish a foundation for the institutional expansion of the donation culture by designing a tax policy-based compensation structure for human body donation acts that entail a high degree of public interest and ethical value. Furthermore, it suggests that tax benefits can function not merely as financial compensation but as a policy tool that transforms public perception of life-sharing.

Key Wordsorgan donation, tissue donation, cadaver donation, tax incentives, charitable contribution deduc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