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문초록>
본 연구는 블록체인 기반의 토큰증권(Security Token)에 대하여 국내 과세체계를 정비할 필요성과 그 구체적 방안을 고찰하였다. 토큰증권은 자본시장법상 증권의 권리 구조를 분산원장 기술로 구현한 디지털자산으로서, 주식형․채권형․수익증권형․투자계약형 등 다양한 유형이 존재하며, 각 유형에 따라 과세 소득의 귀속 범주(배당, 이자, 양도 등)가 다를 수 있다. 그러나 현행 소득세법은 이러한 자산 유형별 특성을 반영한 세부적 과세 기준이 미비하고, 2024년 개정으로 투자계약증권 일부에 대한 배당소득 분류가 도입되었음에도, 이는 조각투자 중심의 협소한 범위에 국한되어 있어 제도적 정합성과 실무 적용에 한계가 존재한다.
이에 본 연구는 첫째, 토큰증권의 법적 구조 및 과세 관련 쟁점을 유형별로 분석하고, 둘째, 미국․영국․스위스․일본 등 주요국의 규제 및 과세제도를 체계적으로 비교하였다. 각국은 증권성 판단 기준, 과세 소득유형 분류, 장단기 보유에 따른 세율차, 자동정보보고제도(AEOI) 등의 측면에서 다른 정책 프레임을 적용하고 있으며, 한국 자본시장 및 투자자 행태와의 비교를 통해 단순한 제도 이식이 아닌 맞춤형 적용의 필요성을 제기하였다. 특히, 미국의 Howey Test 적용과 증권거래위원회(SEC)의 규제 사례, 스위스의 자본차익 비과세 원칙, 일본의 과세 혼선 및 실무적 해석의 불명확성을 분석하여, 한국에 적용할 수 있는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나아가 본 논문은 블록체인 기술 특유의 권리 귀속 불명확성, 스마트 컨트랙트 기반 자동 분배의 오류 가능성, 국제적 거래에 따른 이중과세․비과세 리스크 등의 실무 쟁점도 함께 조명하며, 자본시장법․소득세법․전자증권법의 유기적 정비, 투자자 보호와 시장 활성화 간 균형을 고려한 단계적 규율 체계, 거래소 기반의 과세자료 자동보고 체계 구축 등 정책․입법적 개선 방향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는 토큰증권 과세체계의 체계화 및 실무 수용성 제고에 기여하고, 향후 디지털자산 기반 자본시장 정책 설계의 기준점이 될 수 있는 분석 틀을 제공한다.
▶ 주제어:토큰증권(STO), 투자계약증권, 가상자산, 증권성, 배당소득
<Abstract>
This study examines the urgent need to reform South Korea’s tax system in response to the rise of security tokens—digital assets that replicate the legal structures of traditional securities using blockchain technology. Security tokens are classified into distinct categories such as equity-type, debt-type, collective investment-type, and investment contract-type tokens, each of which gives rise to different types of income (e.g., dividends, interest, or capital gains). Although the 2024 amendment to the Income Tax Act newly classified income from investment contract securities as dividends, this revision applies narrowly to fractional investment schemes and fails to address the broader structural and administrative uncertainties posed by tokenized securities.
To resolve this, the paper first analyzes the legal classification and taxation implications of various security token types, and second, conducts a comparative analysis of the regulatory and tax regimes of the United States, the United Kingdom, Switzerland, and Japan. The study highlights significant differences across jurisdictions in areas such as the legal definition of security, income classification standards, taxation of long-term versus short-term holdings, and international tax compliance mechanisms (e.g., AEOI). It also emphasizes the need to design a policy framework tailored to Korea’s capital market environment and investor base, rather than relying on wholesale adoption of foreign models.
Furthermore, the paper explores practical and legal challenges unique to blockchain-based securities, including ambiguity in rights attribution, smart contract distribution errors, and cross-border tax conflicts (e.g., risks of double taxation or tax avoidance). Based on these findings, the study proposes a multi-layered reform strategy involving amendments to the Capital Markets Act, the Income Tax Act, and the Electronic Securities Act, along with phased regulation that balances investor protection and market development. It also suggests the implementation of automated reporting systems at the exchange level to streamline compliance and enhance transparency. Ultimately, this research provides a structured analytical framework for policy-makers and practitioners seeking to establish a coherent and effective tax regime for security tokens in the digital finance era.
▶ Key Words: token securities, investment contract securities, virtual asset, security, dividend gain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