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무와 회계연구
(통권 제42호-5) 학교법인의 수익용기본재산 양도차익 과세이연 개선방안 연구(최원석 김수성)
2025-09-01
작성자 :
조회 : 77
첨부파일 : 1개

<국문초록>

 

학교법인은 의무적으로 수익용기본재산을 확보해야 한다. 사립대학은 보유하고 있는 수익용기본재산의 수익활동을 통해 대학재정에 필요한 비용을 충당하고 있다. 현행 조세특례제한법 제104조의16에서는 대학 등 학교법인의 수익용기본재산 대체취득 시 양도차익 과세특례에 대하여 규정하고 있다. 현행법에서는 고등교육법에 의한 학교법인이 수익용기본재산을 처분할 경우에는 대체자산을 1년 이내에 취득하여야 하며, 양도차익은 3년 거치 3년 분할하여 익금산입 하는 특례를 부여하고 있다. 그러나, 현행 과세특례는 사립대학의 재정 건전화를 위해 마련한 제도임에도 불구하고 형식적인 과세이연에 불과하다는 비판의 목소리가 있다. 그러므로 현행 과세특례 제도는 시급히 개선될 필요성이 있다.

본 연구는 우리나라 사립대학의 수익용기본재산에 대한 과세특례제도의 문제점을 분석하고 합리적인 개선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다음과 같이 주장하고자 한다. 우선, 학교법인의 수익자산 대체취득 시한을 1년에서 2년으로 연장하고자 한다. 둘째, 단기적인 과세이연 기간을 대체 취득한 자산을 처분할 때까지 확대함으로써 대학의 재정 건전화와 국제경쟁력 제고를 위한 실질적인 지원이 되도록 하여야 한다. 셋째, 현재 미국을 비롯한 서구 선진 국가들은 대학 법인에 대해서 법인세를 지원하고 있다. 이와 같이 우리나라도 사립대학 재정 건전화를 도모하기 위해서는 과세면제 내지는 과세이연 기간을 연장하여 사립대학의 재정에 실질적 도움이 되는 과세 지원책이 되어야 한다.

본 연구에서 제시한 대체취득 시한 및 과세이연기간 연장 방안은 학교법인의 실제적 세 부담을 완화하고, 대학재정의 재원 확보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본다. 본 연구에서 제시한 대안은 학교법인과 과세당국의 법 개정에 대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주제어:대학법인, 수익용기본재산, 조세특례제한법, 과세특례, 수익사업, 과세이연

 

<Abstract>

 

School corporations are obligated to secure basic property for profit. Private universities cover expenses necessary for university finance through profit activities of their basic profitable property. Article 104-16 of the current Restriction of Special Taxation Act stipulates special cases for taxation of transfer gains when a school corporation such as a university acquires replacement of basic property for profit. In the current law, when a school corporation disposes of basic property for profit under the Higher Education Act, it is required to acquire alternative assets within one year, and the transfer gains are divided into three years after three years of deferment. There are voices of criticism that the current tax exemption is only a formal tax delay, even though the system was prepared for the financial soundness of private universities. Therefore, the current tax exemption system urgently needs to be improved.

This study attempted to analyze the problems of the special taxation system for basic profitable property of private universities in Korea and to suggest reasonable improvement measures. In this study, I would like to argue as follows. First of all, the deadline for acquiring alternative profitable assets of a school corporation is extended from one year to two years. Second, by expanding the short-term tax deferral period until the assets acquired are disposed of, practical support for fiscal consolidation of universities and enhancement of international competitiveness should be provided. Third, currently, advanced Western countries, including the United States, provide corporate tax support for university corporations. In order to promote the fiscal consolidation of private universities, Korea should also provide tax support that is practically helpful for the finances of private universities by extending the tax exemption or tax deferral period.

The alternative acquisition deadline and tax deferral period proposed in this study are expected to ease the actual tax burden on school corporations and contribute to securing financial resources for university finances. The alternatives suggested in this study are expected to be used as basic data for the revision of the laws of school corporations and tax authorities.

▶ Key Words:university corporation, basic property for profit, restriction of special taxation act, special taxation, profits business, deferral tax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