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문초록>
정부는 연금납입액에 대한 세제 혜택이 고소득자에게 집중되는 문제점을 해소하고자 2020년에 소득이 1.2억원 이하이면서 연금수령 시점에 가까운 50세 이상 가입자를 대상으로 납입 한도를 증액하는 개정 조세정책을 시행하였다. 해당 개정은 은퇴가 임박한 50대에 대해 사적연금의 납입 확대를 독려하기 위해 연령에 기반하여 조세 혜택을 달리하였다는 차별점이 있었고, 일정 소득 이하 가입자에 대해 더 높은 한도액을 적용하는 방향도 있었다. 본 연구에서는 2020년 제도 변경이 정부의 의도대로 정책효과가 나타났는지를 실증적으로 분석하였다.
이중차분법(DID)을 이용하여 2020년의 제도변화가 사적연금 가입 여부에 미친 영향을 분석한 결과, 제도변화에 해당하는 변수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즉, 50세 이상인 사람이 2020년 제도변화 이후에 사적연금에 새롭게 가입했는지 여부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은 결과를 보였다. 그러나 개인의 소득수준은 사적연금의 가입 여부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분석되었다. 특히, 중저소득층(소득 5,500만원 이하)에 비해 5,500만원에서 1억2천만원, 1억2천만원 초과로 갈수록 사적연금에 가입할 확률이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사적연금 가입자의 연금납입액 증가에 대한 분석에서도 2020년의 제도변화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50세 이상인 가입자를 대상으로 연금납입액 한도를 증액하여 가입 및 납입액 확대를 목표로 세법이 개정되었으나, 해당 계층의 연금납입액 변화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지 않았다. 다만, 이 경우에도 가입자의 소득수준, 자본소득 유무 등은 연금납입액 변화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분석되었다.
사적연금은 공적연금으로 충당되지 않는 노후소득을 보완하는 역할을 수행하기 때문에, 이론적으로는 공적연금 보장수준이 낮은 저소득층에서 더 큰 필요성이 존재한다. 그러나 사적연금은 개인의 자발적 가입을 기반으로 하며, 현재의 소비를 줄여 저축할 수 있는 소득 여력이 있는 계층이 참여의 여력을 가지는 구조적 한계를 지닌다. 따라서 사적연금 가입 여부와 납입액의 변화는 필연적으로 소득수준의 영향을 받을 수밖에 없으며, 중저소득층 및 연령을 대상으로 한 조세 정책은 효과가 제한적일 가능성이 크다.
본 연구는 기존 선행연구에서 분석되지 않았던 2020년의 연금계좌세액공제 제도변화인 소득수준별, 연령대별 차등적 세제지원의 효과를 미시 수준(individual level)에서 분석한다는 점에서 차별성이 있다. 또한 2020년의 제도 변화는 이전과 달리 연령대별로 조세 혜택의 차이를 두었다는 점에서 이전 세법 개정과는 다른 측면이 존재하여 본 연구의 추가적인 시사점이 존재한다.
▶ 주제어:연금계좌세액공제, 공적연금, 사적연금, 연금 납입 한도, 연령대, 소득수준
<Abstract>
The government implemented a revised tax policy in 2020 to address the problem of tax benefits on pension contributions being concentrated among high-income earners. This revision targeted subscribers over the age of 50 with an income of less than 120 million KRW, aiming to increase their contribution limits as they approached retirement. The revision differentiated tax benefits based on age, encouraging an increase in private pension contributions among those nearing retirement, and applied higher limits to subscribers with certain income levels. This study empirically analyzed whether the 2020 policy change had the intended policy effect.
Using the Difference-in-Differences (DID) method, the analysis of the impact of the 2020 policy change on the likelihood of subscribing to a private pension showed that the change variable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In other words, the results indicated that the policy change did not significantly affect whether individuals over 50 newly subscribed to private pensions after 2020. However, an individual's income level was found to be a statistically significant factor affecting pension subscription. Particularly, the likelihood of subscribing to a private pension increased as income ranged from 55 million KRW to 120 million KRW and over 120 million KRW compared to the lower-income bracket (below 55 million KRW). The analysis of increases in pension contribution amounts also revealed that the 2020 policy change did not have a statistically significant impact, meaning that although the law was revised to increase the pension contribution limit for subscribers over 50, there was no significant change in their contribution amounts. However, factors such as the subscriber's income level and capital income were significant influences on changes in contribution amounts.
Since private pensions supplement retirement income not covered by public pensions, there is theoretically a greater necessity for them among low-income earners where public pension coverage is low. However, private pensions are based on voluntary subscription, and only those with the financial capacity to save by reducing current consumption can participate, presenting a structural limitation. Therefore, changes in private pension subscriptions and contribution amounts are inevitably influenced by income levels, and tax policies targeting middle to low-income groups and specific ages are likely to have limited effectiveness.
This study is distinctive in that it analyzes the effects of the 2020 pension tax credit system change at the individual level, focusing on the differential tax support by income and age groups, which has not been analyzed in previous studies. Additionally, the 2020 system change introduced a variation in tax benefits by age group, marking a difference from previous tax law amendments and providing additional insights for this research.
▶ Key Words:pension tax credit, public pension plan, private pension plan, contribution limit, age group, income leve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