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보고서
연구보고서
각국의 세무사 제도에 관한 연구(김완석)
2025-02-05
작성자 :
조회 : 94
첨부파일 : 1개

각국의 세무사 제도에 관한 연구(김완석)

목 차

 

I. 서 론 1

 

1. 연구목적 1

2. 연구방법 2

3. 연구범위 3

 

II. 주요 외국의 세무사 업무영역과 그 시사점 4

 

1. 독일 4

. 독일 세무사의 지위 및 업무영역에 대한 개요 4

. 세무사법 제33조에 따른 세무사의 업무 범위 7

. 세무사법 제57조 및 법률서비스법에 따른 세무사의 업무영역 11

. 독일 세무사의 법원에서의 소송대리권 21

2. 오스트리아 22

. 오스트리아 세무사의 지위 및 업무영역에 대한 개요 22

. 세무사의 업무영역 23

. 세무사 부적합 업무 29

3. 일본 30

. 개 요 30

. 세리사의 개념 31

. 세리사의 법적 지위와 사명(使命) 31

. 세리사 업무 범위 41

. 세리사 업무범위에서의 ICT 입법 동향개정안 66

4. 한국과 비교 및 시사점 69

. 독일과의 비교 및 시사점 69

. 오스트리아와의 비교 및 시사점 70

. 일본과의 비교 및 시사점 70

 

III. 우리나라 세무사 업무영역의 확대방안 76

1. 현행법상 세무사 등의 업무영역 76

. 세무사의 업무영역 76

. 공인회계사의 업무영역 90

. 변호사의 업무영역 91

2. 세무사법 제2조 전문의 재구성 방안 92

. 문제의 제기 92

. 세무사법 제2조의 개정 논의 93

. 세무사법 제2조의 개정방안 97

3. 세무사 업무영역의 확대 방안 98

. 조세소송의 대리 99

. 부담금 등의 신고 및 행정심판의 대리 119

. 보조금 적정사용을 위한 정산보고서 검증 132

. 기업진단 및 경영컨설팅 140

. 세무컨설팅 140

. 조세전문지식을 활용한 보험대리 143

. 성년후견 등의 후견인 146

. 지방세 과세표준 사전검증제도 153

. 사외이사 등 비상근 임원 154

. 유언집행자 등 156

4. 변호사의 세무조정계산서 작성업무 수행의 적격성 검토와 개선방안 157

. 세무조정계산서의 작성업무의 성격 157

. 변호사의 양성과정 및 지격시험제도에서 비추어 본 변호사의 세무조정업무 수행 적격성 169

. 세무사 자격 보유 변호사의 세무대리업무의 범위 170

. 세무사 자격을 보유하지 아니한 변호사의 세무대리업무의 범위 175

. 결어 180

5. 인공지능(AI) 기술의 세무사 업무 활용 182

. 세무사의 역할 변화 182

. 세무사법2조의 업무 범위 분석 187

. 인공지능(AI) 기술의 세무업무 적용시 유용성과 문제점 190

6. 세무플랫폼서비스에 대한 대응방안 195

. 개요 195

. 한국세무사회의 세무플랫폼서비스 대응 현황 196

. “삼쩜삼세무플랫폼서비스의 대응 현황과 쟁점 203

. 한국세무사회의 세무플랫폼서비스 향후 대응 방안 206

 

. 요약 및 결론 210

 

참고문헌 222